
안녕하세요 :)
AMPM 글로벌 마케터 김 도희 입니다.
네이버 GFA 광고 한번쯤은 다 들어 보셨던 DA 광고 매체 일거라 생각해요 !
네이버 대표 메인 지면 노출이 가능한 GFA 광고에 대해 클라이언트 분들과 상담을 진행하다 보면,
" GFA 광고는 CPC 가 너무 비싸서 운영 하다가 그냥 멈췄어요."
" GFA 광고 진행할 때 광고비 낮으면 운영 어렵다고 해서 하고싶은데 못했어요"
상기 내용과 같은 말씀들을 많이 해주셨는데요,
모든 분들이 GFA 는 어렵다고 말씀 해 주시는 부분에 대해 솔직하게 마케터의 입장으로
GFA 광고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해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01. GFA 광고 CPC 가 높아서 운영하다가 멈췄어요!
=> GFA 의 경우에는,
대한민국 네이버 대표 포털 사이트 메인 지면 뿐만 아니라 서브,스마트채널, 피드 등 다양한 지면을 활용할 수 있는
DA 매체 중 가장 대표적인 배너 매체 인데요,
솔직하게 먼저 말씀 드리면,
GFA 광고의 업종별 CPC 의 경우, 타 DA 매체 보다 평균 100-200원 더 높게 발생하고 있는게 맞습니다.
아무래도 네이버 대표 지면을 활용한 매체이고
로그인기반 관심사 및 구매의도를 타겟팅 하여 광고 노출이 가능하다는 부분에서
많은 클라이언트 분들께서 해당 매체를 활용해서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그렇다고 해서 운영을 할 수 없는 매체는 아닙니다!
자사가 가지고 있는 KPI 혹은 타겟에 맞춰 관심사 / 구매의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
메인 뿐만 아니라 서브 / 스마트채널 / PC / 밴드 등 어떤 지면을 활용해서 노출 시키냐에 따라
효율적인 광고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잘 활용한다면 충분히 진행 해 볼 수 있는 매체라고 생각해요!
[KPI 에 맞춘 관심사 / 구매의도 설정하기!]
GFA 는 관심사 및 구매의도로 나눠저있는데요,
설정하는 카테고리 별로 평균 CPC 는 최대 1000원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말씀 드려볼게요,
만약 우리가 식품을 판매하는 식품 업종 이라 한다면,
식품과 관련된 카테고리 뿐만 아니라 식품을 구매하는 주요 코어타겟 (여성/남성 25세~50세) 활용하여
높은 입찰가로 인해 노출이 저조하거나, 판매가 부진하다면 다른 카테고리를 활용해서 노출을 증대 시키는 것 또한 방법입니다.
[다양한 지면 활용 - 메인,서브, 스마트채널, 피드 등등 ]
네이버 GFA 는 메인 지면 뿐만 아니라 , 서브지면 / PC / 스마트 채널 / 밴드 등등 많은 지면을 활용할 수 있는데요,
업종별로 평균 CPC 로 맞춰 노출 되는 것이 아니라 지면에 따라서도 CPC의 금액이 다양하게 발생되고 있습니다!
무조건 적으로 메인배너가 100원 - 200원 더 높기 때문에 GFA 는 운영하기 어려운 매체가 아닙니다.
내가 지면을 어디서 활용하느냐, 타겟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평균 CPC 는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 무조건 메인지면에 노출 시킨다고 노출이 원활하게 이뤄지고 클릭이 높게 발생되는 것도 아닙니다.
월말 / 시즌성이슈가 있는 시기의 경우에는
다른 회사에서 노출을 높이기 위해 CPC를 올려서 운영하는 경우도 많이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배너 지면 특성 상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기에는 친숙하게 느껴지는 지면이 아니기도 하기에,
무조건 메인 지면에 노출 시키는 것은 좋은 방법은 절. 대. 아닙니다.
나한테 맞는 지면을 빠르게 찾아 해당 지면을 활용하여 운영 하는것이 방법이라고 생각 합니다.
02. GFA 광고 할 때 광고비 낮으면 운영이 어렵다고 해서 안했습니다.
GFA 광고 할 때 광고비가 낮으면 운영이 어렵다.
GFA 광고 뿐만 아니라 모든 DA 매체 광고 진행 예정이라면 꼭 필요한 부분 중 하나가 소재 테스트 입니다.
같은 배너 소재라고 하더라도 매체 특성에 따라 효율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어떤 소구점을 활용하는지 / 어떤 이미지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효율의 차이는 발생하고 있으며
GFA 의 경우에도 소구점의 영향을 많이 받는 매체 중 하나 입니다.
효율이 잘 나오는 소재를 발굴 해 내기 위해서는 소재 테스트를 지속적으로 진행 하여야 합니다.
우리가 세팅하는 그룹 및 소재에 따라 다르겠지만,
성과 개선 및 소구점 발굴을 위해 최소한의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는 일 최소 예산 100,000 원의 비용은 잡고 운영해야 합니다.
이렇게 일 10만원의 최소 비용을 잡고 캠페인을 운영하면서
1차적으로 CTR 이 유지되는 소재가 있는지 (평균 0.8%~1.0%) 확인 후
CTR 이 유지되는 소재를 디벨롭 시키면서 캠페인을 확장 시키고,
2차적으로 전환이 나오는 소구점의 소재를 발굴 해 낸다면
효율적으로 예산을 활용 하면서 GFA 운영이 가능합니다.
광고비가 낮아서 운영이 어렵다기 보다, 자사의 전환을 높여주는 소구 및 소재를 발견하기 위한
지속적인 소재 테스트가 필요한 부분이며,
앞서 말씀 드린 소재와 소구점이 빠르게 잡힌 다면 그만큼 목표에 맞는 매체 운영이 가능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GFA 광고!
알고 하면 보다 좋은 성과 개선을 기대 해 볼 수 있으나
모르고 한다면 불필요한 예산 소진 및 성과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 매체라고 생각합니다!
GFA의 광고에 대해 확실하게 알고 운영한다면,
보다 좋은 성과 및 매력을 알게 될 것이라고 장담 합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