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분석] 적정 ROAS
마케터 이미지
김한아 마케터
2023-01-27

조회수 : 704

댓글 0
광고를 집행 중 이라면,
중요하게 확인해야 할 데이터 중 하나인 " ROAS "

지금 측정하고 있는 혹인 목표하고 있는 ROAS 가 
정확한 기준을 가지고 확인하고있는 ROAS 가 맞으실까요?

광고를 진행 중 이시라면,
혹은 광고 대행사 직원 분들이라면

" ROAS 200% 만 나오면 성과 만족합니다."

" 보통 ROAS 200% 평균으로 잡고 운영 한다는데, 우리 업종은 몇%가 평균적일까요?"

" 대표님 광고비에 맞춰 ROAS 300%는 무조건 맞춰 드릴 수 있습니다! "

이런말들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ROAS 가 무조건 높다고 해서 지금 운영중인 광고가 문제가 없는것은 아니며,
ROAS 를 높게 잡는다고 해서 순이익이 많이 남는것도 아닙니다.

적정한 ROAS를 찾는 방법은 딱 한가지 입니다!


" 상품의 원가에 맞는 ROAS 를 목표로 잡자. "

동일한 금액에 판매가 된다고 하더라도, 상품에 따라 원가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우리가 광고를 진행 할 때 알맞은 ROAS 를 잡기 위해서는
상품의 원가를 알고, 원가에 맞는 ROAS를 측정해야 합니다.


동일한 금액으로 판매되고 있으나 원가가 다른 A 와 B업체를 예시로 들어
자세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

A 업체 : 스킨로션 / 판매가 10,000원 / 원가 3,000원
B 업체 : 건기식 / 판매가  10,000원 / 원가 7,000원

이 두 업체가 1월 한달간 동일하게 광고비 100,000원을 소진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A 업체의 경우 매출이 125,000원만 발생해도 광고비 대비 손실이 없으며,
B 업체의 경우 매출이 333,334원이 발생되어야 광고비 대비 손실없게 운영이 가능합니다.


똑같은 광고비 100,000원을 쓴다해도
판매하는 두 상품의 원가가 다르기 때문에, A 업체는 최소 ROAS 125% 를 유지 시켜야 하며,
B 업체의 경우에는 최소 ROAS 333%를 유지시켜야 사용했던 광고비에 대한 손실이 없이 운영이 가능 한 것 입니다.

동일한 판매가 / 동일한 광고비를 기준 잡아 운영했다 하더라도,
두 업체의 최소 ROAS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판매하는 각각의 상품 원가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내가 판매하고 있는 상품의 원가가 얼마인지를 알고,
광고비 대비 원가의 수익율을 계산할 수 있어야
광고비 대비 손실 없이 효율적인 광고 운영이 가능 합니다.




검색광고마케터1급GAIQ구글애널리틱스마케터자격이수

1등 퍼포먼스마케터 김한아AE

“의미 없는 광고 성과”“요청사항 반영만 하는 플랜없는 인사이트”, “브랜드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는 뻔한 제안” 

저는 다르다고 자부할 수 있습니다.

90개의 퍼포먼스 성공사례, 한국디지털광고협회에서 강의 및 멘토로 활동하고

유튜브에서는 약 50여개의 마케팅강의를 진행했습니다.

 

 무의미한 광고를 하는 많은 광고주들열심히 마케팅을 하지만 결과로 이어지지 않는 광고주들에게 제 노하우를 공유합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
광고상담은 채팅으로 문의하세요.
몇 분 내 답변 받으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