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1. 팀 성과, 팀장만의 몫이 아니다
팀원 모두가 열심히 일해도 성과가 나오지 않을 때가 있죠. 그럴 때 보통 팀장님들은 전략이나 팀워크를 점검합니다. 그런데 잘 짜인 전략과 유기적인 팀이 있어도 목표와 목표 의식이 불명확하면 성과를 내기 어렵습니다. 팀원이 공동의 목표를 잘 이해하는 것, 그 목표의 중요성과 달성 방법에 대해 충분한 합의를 이루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혹시 팀 차터(team charter)라는 말을 들어 보셨나요? 여기서 '차터'는 선언문, 헌장이라는 뜻입니다. '팀 차터'는 팀 헌장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데요.
팀 차터란 팀이 가진 공동의 목표, 전략, 절차, 문화 등을 바탕으로 팀의 목표는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지 그 윤곽을 보여주는 팀 공동의 로드맵 문서이자 팀 관리 기법입니다.*
* outlines what your team stands for and how they operate. By creating a document of shared goals, strategies, and processes, your team can start every work and task on a united front. (출처 : asana.com)
팀 차터라는 용어가 다소 생소할 수도 있는데요. 제가 일했던 외국계 기업에서는 모든 팀이 팀 차터라는 문서를 작성하고 라이브하게 관리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팀장을 대상으로 작성 노하우나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을 지원해 주기도 했어요.
팀 차터는 팀의 핵심적인 내용을 담은 문서입니다. 배가 출항하기 전에 함께 만드는 항해 지도, 혹은 건물을 짓기 전에 함께 만드는 건축 설계도와 같습니다. '헌장'이라는 이름처럼 팀 차터를 진지하게 생각하는 기업에서는 팀 차터 문서 마지막에 팀장을 포함한 팀원들의 서명을 넣기도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팀장과 팀원이 함께 만들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모든 선원이 어디로 어떻게 갈지 합의해야 배가 순항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팀 차터를 잘 만들고 관리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 팀장이 해야 할 일이 명확해집니다.팀장의 시간을 절약 팀 차터는 팀이 추구하는 공동의 목표와 전략에서 도출된 성과 측정 지표, 팀원들의 역할 분배, 채용 계획과 예산, 워크 프로세스 등 팀 운영에 대한 핵심적인 요소들을 명확히 해줍니다. 따로 정리하게 되면 하나하나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들인데 한번에 일관된 논리로 정리할 수 있어 바쁜 해주니 일석이조입니다.
- 이해관계자들과의 의사소통 수단이 됩니다. 팀 차터에는 팀 운영에 대한 모든 것이 정리되어 있어 팀원이나 경영진이 읽었을 때 팀이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목표 달성을 위해 도출된 주요 성과 지표를 합의한 방식으로 상시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연초에 한 번 하는 이벤트로 팀 차터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작성 후 매주 꺼내 보며 목표 지향적으로 팀을 관리합니다.
- 특히, 마케팅 팀장에게 있어 복잡하게 얽힌 수많은 마케팅 KPI의 함정에 빠지지 않고 팀을 목표 중심으로 구조화할 수 있습니다. 즉, KPI를 달성하는 방식으로 팀 자원을 할당하고 공동의 워크 프로세스를 수립할 수 있는 것이죠.
- 온보딩에 큰 도움이 됩니다. 팀 차터를 활용해 온보딩을 진행하면 신규 입사자도 팀이 하는 일과 우선순위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제가 자주 활용하는 팀 차터 템플릿은 아래와 같습니다. 보기에는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로 이 템플릿의 모든 요소를 정리하기 위해서는 생각보다 많은 고민이 필요합니다.
[템플릿 실제 예시]

'팀'이라는 것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요? 팀의 구성 요소는 1)공동의 목표, 2)사람과 리소스, 3)프로세스, 4)문화입니다. 팀 차터는 팀의 구성 요소가 나아갈 구체적인 방향을 정의하고, 실제 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점검해줍니다.
- PART 1: 왜(Why)무슨 일(What) 우리가 일을 하고, 그래서 을 해야 하는가?
- PART 2: 그 일을 누가(Who)리소스(Resource) 어떤 를 활용해 할 것인가?
- PART 3: 어떤 방식과 태도(How)로 일할 것인가?
- PART 4: 우리가 합의한 헌장이 잘 지켜지고(Measure) 있는가?
마케팅 팀장을 위한 팁
저와 같은 마케터들에게 특히 중요한 항목이 있습니다. 바로 첫 번째와 두 번째 파트인데요.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PART 1 - 마케팅 KPI: 첫 번째 파트는 팀이 해야 하는 일을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정량적, 정성적인 목표와 지표들이 이 파트에서 정의되는데요. 관리하는 KPI가 다양하게 세분되는 마케팅의 특성상 팀이 어떤 목표를 설정하고, 각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떤 세부 마케팅 KPI를 설정하는지에 따라 향후 팀의 업무가 크게 달라집니다.
- PART 2 - 리소스: 두 번째 파트는 팀이 어떤 리소스를 활용할 것인지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회사 내에서 가장 큰 예산을 쓰는 마케팅팀의 특성상 연간 마케팅 예산의 규모와 증액 및 감액에 대한 기준에 따라 팀의 의사결정 방향과 프로세스가 좌우됩니다.
다음에는 팀 차터를 파트별로 어떻게 생각을 정리하고 작성해야 하는지, 유의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이 있는지 세부적으로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퍼블리
- 저자 서현직 29CM 그로스기획 리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