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S가 높으면 끝? No!
마케터 이미지
김한아 마케터
2023-02-10

조회수 : 655

댓글 0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마케팅의 성공을 판단할 때 주로 나오는 단어인 'ROAS'의 비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ROAS는 'Return On Ad Spend'의 약자로, 광고비 대비 매출액을 의미하는데요.

그래서 대부분 마케팅 성공 여부를 판단할 때 'ROAS 300% 달성, 500% 달성' 등의 말을 사용하곤 합니다.


ROAS의 계산법은 '매출액 / 광고비 X 100' 인데요.

예를들어 100만 원의 광고비를 사용해 200만 원의 매출액이 발생했다면, ROAS는 200%가 됩니다.


적은 광고비를 사용해 많은 매출액을 발생시킨다면 ROAS는 더욱 높아지겠죠?

그럼 당연히 ROAS가 높을수록 성공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결론은 'No' 입니다.


ROAS 수치가 올라갈수록 광고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건 사실이지만, ROAS가 높아도 손해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유는 바로 제품의 '원가'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아까의 상황처럼 A제품과 B제품 두개 모두 100만 원의 광고비를 사용해 200만 원의 매출을 얻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런데 A제품의 원가는 20만 원, B제품의 원가는 10만 원 이라면?

두 제품의 ROAS는 200%로 같겠지만, 총 매출에서 원가와 광고비를 제외한 '순이익'에서 차이가 발생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매출이 올라간다고 해도 원가가 높아진다면 ROAS는 좋은 수치가 나와도 순이익에서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생기겠죠.


이 때문에 ROAS를 통해 이익의 척도를 확인하면 안됩니다.

'광고가 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지' 확인하는 겁니다!


광고주님들께서도 이 글 참고하셔서 단순 ROAS 수치에 속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검색광고마케터1급GAIQ구글애널리틱스마케터자격이수

1등 퍼포먼스마케터 김한아AE

“의미 없는 광고 성과”“요청사항 반영만 하는 플랜없는 인사이트”, “브랜드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는 뻔한 제안” 

저는 다르다고 자부할 수 있습니다.

90개의 퍼포먼스 성공사례, 한국디지털광고협회에서 강의 및 멘토로 활동하고

유튜브에서는 약 50여개의 마케팅강의를 진행했습니다.

 

 무의미한 광고를 하는 많은 광고주들열심히 마케팅을 하지만 결과로 이어지지 않는 광고주들에게 제 노하우를 공유합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
광고상담은 채팅으로 문의하세요.
몇 분 내 답변 받으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