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브라운 코리아? 이제 명품도 D2C가 트렌드
마케터 이미지
김한아 마케터
2023-02-10

조회수 : 704

댓글 0


안녕하세요 광고 컨설팅 2팀 마케터 임민호입니다 :)


어제 제가 패션업종에서 D2C 자사몰 전환에 관한 트렌드와 마케팅 응용법을 설명해드렸었는데, 

☞ https://inside.ampm.co.kr/bbs/board.php?bo_table=insight&wr_id=829&ae=mino1056



톰브라운도 최근에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한 사례 뉴스가 있어서 공유드립니다 :)

톰브라운이 한국 진출에 있어서 삼성 물산 패션부문의 유통 플랫폼 (SSF)을 벗어나

톰브라운코리아를 설립해 독지적으로 국내 시장에 직진출한다고 합니다!

좋은 사례 참고 되시길 바랍니다

----


출처 :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302070070



[이코노미스트 김채영 기자] 국내 대기업들이 운영하던 수입 패션 브랜드들이 하나둘 직접 진출에 나서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국내 명품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전 세계에서 한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자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직진출 선언에 나서는 움직임이다.

이별은 또 다른 시작? 톰브라운 마케팅·매장운영은 계속





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국내에서 독점적으로 운영하던 톰브라운이 7월 1일 ‘톰브라운코리아’를 설립해 국내 시장에 직진출한다고 밝혔다. [톰브라운 캡처]






서울 현대백화점 본점에 위치해 있는 톰브라운 남성 매장 모습. [톰브라운 홈페이지 캡처]


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국내에서 독점적으로 운영하던 톰브라운이 7월 1일 ‘톰브라운코리아’를 설립해 국내 시장에 직진출한다고 밝혔다. 지난 2019년 톰브라운을 인수한 에르메네질도 제냐가 나서서 브랜드의 직접 진출을 추진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삼성물산 패션부문과 톰브라운은 리테일 매니지먼트 계약을 통해 협력 관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통상 수입 브랜드와 국내 기업과의 계약 기간이 끝나면 둘의 관계는 끝나지만,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지난 2011년부터 12년간 톰브라운과 맺어온 계약 관계는 협력 관계로 바뀌어 계속 이어질 예정이다.



삼성물산 패션부문 관계자는 “리테일 매니지먼트 계약을 통해 톰브라운은 한국 내 모든 투자와 비용 지출을 전담하게 되고,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상품 발주와 마케팅, 매장 운영 등 사업 전반의 업무를 맡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톰브라운 등 수입 브랜드는 수백억원대 매출을 내왔지만 삼성물산 패션부문 매출이 2조원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비중이 그렇게 크지는 않았다”면서도 “이번 계약으로 이익에 변화가 생길 수도 있다”고 전했다. 지금까지는 국내 톰브라운에서 발생하는 이익은 모두 삼성물산 패션부문으로 넘어갔지만, 이젠 톰브라운코리아를 통해 수수료를 받는 형식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검색광고마케터1급GAIQ구글애널리틱스마케터자격이수

1등 퍼포먼스마케터 김한아AE

“의미 없는 광고 성과”“요청사항 반영만 하는 플랜없는 인사이트”, “브랜드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는 뻔한 제안” 

저는 다르다고 자부할 수 있습니다.

90개의 퍼포먼스 성공사례, 한국디지털광고협회에서 강의 및 멘토로 활동하고

유튜브에서는 약 50여개의 마케팅강의를 진행했습니다.

 

 무의미한 광고를 하는 많은 광고주들열심히 마케팅을 하지만 결과로 이어지지 않는 광고주들에게 제 노하우를 공유합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
광고상담은 채팅으로 문의하세요.
몇 분 내 답변 받으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