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컨설팅본부 한정아 마케터 입니다 :)
오늘은 배너광고에 대한 기초적인 설명과 이해를 돕기 위한 주제의 글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일단,
배너광고 즉, DA광고란?
이미지나 영상을 포털사이트, 홈페이지, 커뮤니티 등에 노출하는 형태의 광고입니다.
더불어, 배너광고를 함으로써 자사 브랜드의 인지도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이 배너광고는 어떻게 노출이 될까요?
위 캡쳐본(사진)에서 보시다시피, 웹페이지 내에서 사각형 모양으로 보여지게 됩니다.
노출되는 사각형 모양 안에 과거에는 단순하게 도메인과 사업내용을 알리는 형태로 시작 했으나,
요즘은 동영상을 넣거나 홈페이지를 열면 고정적으로 배차되는 등 다양화 되고 있습니다.
배너광고의 경우,
성별/연령/관심사/지역 등 다양한 타겟팅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리타겟팅 / 유저타겟팅 / 딥링크' 방식으로 광고 집행이 가능합니다.
하나하나씩 살펴보자면,
[리타겟팅]은 사이트에 유입했었던 고객들이 이탈한 경우,
이탈한 98% 잠재고객의 재방문을 유도하여 ROAS를 극대화 시키는 타겟팅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장바구니 담기나 자사 상품을 보고 구매한 같은 카테고리들의 상품들을 배너 형태로 노출시켜 계속해서 광고하는 마케팅 기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번째로, [유저타겟팅]은 쉽습니다.
고객의 흥미를 유발시켜 신규 및 가망 고객을 유도하는 타겟팅 기법입니다.
마지막으로, [딥링크]는 아무래도 생소한 단어이실텐데요,
배너광고를 클릭할 시, APP 내 특정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방식을 말하는 단어입니다.
해당 앱이 설치 되어 있지 않은 소비자에게 APP store로 이동시킨 후,
설치 및 실행 시, APP 내 특정 페이지로 이동하게끔 하여 구매를 유도시키는 것입니다.
이렇게,
배너광고에 간단한 설명을 드렸는데
이제는 DA 즉, 배너광고에는 어떠한 매체들이 있는지 그 매체 별 특징과 장점들을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DA매체란?
(Display Advertising : 디스플레이 광고 = 이미지 광고)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포털사이트 내 메인 화면이나 서브지면 내에 노출되는 광고인 '포털 배너'가 있고, 웹사이트를 방문했던 이용자들을 타겟으로
언론사나 각종 커뮤니티 사이트들의 배너에 노출되는 CPC형태의 배너광고인 '네트워크 배너'가 있습니다.
먼저,
'포털 배너'인 GFA 스마트 채널은 모바일 화면 최상단에 노출되는 상품으로 메시지를 의미있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 배너 형식을 쓸 때의 효과적인 TIP을 드리자면, 광고 안에 브랜드 명을 명시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SA광고나 브랜드검색광고를 같이 집행해주시면서 소비자가 자사 브랜드 인지를 높일 수 있게 광고를 집행하시면 효과가 더욱 좋으실 겁니다.
두 번째로, GFA 브랜딩 DA는 모바일 내 뉴스/연예/스포츠 등 주요 판에 노출되며, 배너 내 다양한 효과를 활용하여 비즈니스 내용을 주목적이게 노출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 배너 형식에서의 효과적인 TIP이라고 하면,
이는 같은 캠페인 내 여러 소재 등록이 가능한데 효율이 가장 좋은 위주로 노출이 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소재를 운영하기 원하신다면, 캠페인을 분리해서 운영하여 테스트를 거치고 집행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끝으로, DA매체의 중요성을 말씀드리자면
이미지 배너형식으로 시각적인 요소의 노출로 인한 인식을 높여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세부적인 타겟 혹은 리타겟팅 마케팅으로 높은 전환율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매체 별 특징으로 가장 대표적인 GFA에 대한 설명만 적었는데, 추가로 카카오나 모비온, SNS광고 등 여러 DA매체에 대해 궁금하신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 남겨주시면 빠른 회신과 컨설팅 도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