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광고퍼포먼스1본부 2팀 김태준입니다!
오늘은 제가 운영하게 된 DB업종 중 포인트적립서비스 업종 A사의
구글SA / 구글GDN / 메타 기본적인 셋팅과 기존 운영방법에서 어떤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여 적용할 계획인지에 대한 내용으로 준비하였습니다.
해당 A사의 기본적인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KPI : DB문의수 증대
매체 : 메타
월 예산 : 100만원
기타사항 : 처음 광고를 집행하는 것이며 문의를 추적하기 위한 셋팅이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태
문제점
1. 메타의 경우 회사 인보이스로 계정을 새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기존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
2. 9월 총예산 : 56만원 / 10월 총예산 : 64만원 / 11월 총예산 : 114만원, 전환 2건 / 12월 총예산 : 100만원 전환 5건 / 1월 총예산 : 24만원, 전환 0건으로 저예산 운영과 낮은 전환율을 보이고 있는 상황
3. 기존 트래픽 / 전환 캠페인을 일예산 각 4,500원으로 운영
4. 소재의 경우 무료 프로모션을 강조하기 때문에 클릭은 유도할 수 있으나 어떤 서비스인지 설명이 부족하여 클릭후 이탈이 많음
개선점
1. 먼저 기존 계정의 셋팅값을 미러링하여 셋팅
2. 메타에서 전환을 증대시키기 위해 기존 웹사이트 전환 캠페인에서 잠재고객양식 캠페인을 통해 문의 수집
3. 너무 적은 예산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노출 및 도달이 최소화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1개의 캠페인에서 일예산 30,000만원으로 집중 운영
4. 어떤 서비스인지 최소한의 설명이 추가된 소재 활용하여 클릭후 이탈 개선
해당 계정의 경우 메타에서도 KPI가 문의수 증대이지만 실질적으로 홈페이지 유입수 증대를 위해 운영되고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유입의 경우 구글 GDN / 구글 SA에서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네이버와 메타에서는 실DB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메타에서 잠재고객양식 캠페인을 설정하여 A/B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더욱 분석하여
발전한 데이터로 다시 인사이트 전달 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광고퍼포먼스1본부 2팀 김태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