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GFA 잘하는 방법
.gif)
김상현 마케터
2023-02-07
조회수 : 253
댓글 0
영상개요
으레 배너 광고가 잘 안 되면 ‘매체가 안 좋다’, ‘입찰가가 높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혹시 광고 소재(creative) 자체의 문제는 아닐까요? 단순히 많은 배너를 등록했다고 끝이 아닙니다. 비효율적인 광고비 지출에 답답함을 느끼고 있다면, 네이버 GFA를 활용한 현명한 운영 전략에 주목할 때입니다.
기존 디스플레이 광고(DA)와 달리 실시간 입찰 방식의 네이버 GFA는 새로운 성과형 디스플레이 광고로 떠올랐죠. 하지만 그만큼 효율 관리에 노하우가 필요합니다. GFA는 로그인 기반의 네이버 이용자 데이터를 활용하고, 친숙한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시스템과 연동되어 구매 전환율을 높이는 데 강점이 있습니다. 특히 30대에서 50대까지, 구매력 높은 타겟층에게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은 놓치기 어려운 포인트입니다.
많은 광고주분들이 ‘소재를 충분히 많이 만들었는데도 노출이 안 된다’거나 ‘클릭은 발생하지만 전환은 저조하다’는 고민을 토로합니다. 이때 무작정 입찰가를 높이면 도달 비용만 증가할 뿐,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습니다. 진정으로 중요한 건 바로 ‘소재의 경쟁력’입니다. 하나의 광고 그룹에 다양한 소구를 담은 배너를 모두 넣기보다는, 가격, 기능, 브랜드 등 명확한 소구점별로 그룹을 나누어 최적화된 소재를 테스트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내가 만든 소재가 과연 유저에게 충분한 반응을 이끌어낼 것인지, 경쟁 속에서 살아남을 기회를 가질 수 있는지 고민해야 합니다.
소재 품질은 곧 유저의 클릭으로 이어집니다. 시기별 트렌드에 맞는 소재 발굴은 물론, 성공적인 경쟁사의 배너를 아카이빙(archiving)하여 클릭률(CTR)과 전환율(CVR)을 높이는 노하우를 얻는 것도 중요하죠. 가령 "콜라겐 몇 mg 함유" 같은 정보 전달형 멘션 대신 "일주일 물 안 마셔도 화장 잘 먹어요!"처럼 유저의 공감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소구가 더욱 강력한 전환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GFA는 머신러닝 기반이라 특정 연령대에 반응이 좋은 소재는 해당 연령대에 집중적으로 노출시키기 때문에, 핵심 타겟층(예: 35-44세, 45-54세)의 반응에 맞춰 소재를 세분화하여 생성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때로는 클릭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배너를 통해 브랜드나 제품명을 인지한 유저가 네이버에서 직접 검색하여 유입되는 2차 검색 유도 효과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배너 디자인에 브랜드명과 제품명을 명확히 표기하여 소비자가 자연스럽게 인지하도록 유도하는 것 역시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GFA를 통해 단순히 광고를 노출하는 것을 넘어, 타겟별 맞춤 소구를 개발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끊임없이 소재를 개선한다면, 그 어떤 매체보다 뛰어난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겁니다.
GFA를 통해 단순히 광고를 노출하는 것을 넘어, 타겟별 맞춤 소구를 개발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끊임없이 소재를 개선한다면, 그 어떤 매체보다 뛰어난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겁니다.
네이버 GFA 잘하는 방법입니다.
첨부 파일
댓글
0
영상 교육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