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양·부동산 업종을 운영하시다보면 한 가지 고민,
다들 생기실 겁니다.
“우리 단지를 검색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경쟁 단지는 어떤 키워드로 고객을 유입하고 있을까?”
“광고를 집행하고 있는데도 실제 문의와 계약으로 이어지는 비율이 왜 이리 낮을까?”
많은 광고주와 마케터가 이 부분 때문에 답답함을 느끼곤 합니다. 단순히 광고를 집행하는 것만으로는,
고객이 어떤 경로로 관심을 갖고 행동으로 이어지는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제가 최근 분양·부동산 업종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성과를 내는 설계 전략과 광고 집행 방향까지 하나의 흐름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특히 “검색 기반 유입 → 관심 유지 → 현장 방문 → 계약 전환”까지 고객 여정 전체를 설계하는 접근법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분양·부동산 마케팅은 일반 제품 광고와 달리, 단기간에 성과를 내야 하는 고관여 업종입니다.
잠재 고객은 단지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비교하는 시간이 길고, 결정에 앞서 다양한 채널을 확인하는 경향을 가집니다.
즉, 광고 노출만으로는 부족하며, 고객이 자연스럽게 문의와 방문, 계약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설계해야 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고관여 업종이란?
소비자가 특정 제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얼마나 신중하게 정보를 탐색하고 구매로 전환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도
고관여 업종과 저관여 업종 개념 이해하기 (https://inside.ampm.co.kr/insight/13165)
# 분양 마케팅 핵심 전략
- 플랫폼 제휴 광고 : 잠재 고객 접점을 확보하라(이미 부동산을 탐색 중인 고객 풀에 직접 광고를 노출)
예시: 부동산 정보 앱, 프롭테크 플랫폼, 지역 주택 정보 사이트(직방, 다방, 호갱 노노 등)
* 단지가 위치한 지역과 유사 수요층이 많은 플랫폼과 제휴하여 배너, 팝업, 추천 리스트 형태로 노출
* 단지명, 지역명, 핵심 키워드(교통, 생활인프라 등)를 광고 소재에 반영
* 제휴 플랫폼별 CPM, 클릭률, 문의 전환율을 측정하고 KPI 설계
잠재 고객이 실제 모델하우스 방문 전 신뢰와 관심 형성에 도움
모델하우스 내부 투어, 드론 조감도, 생활 인프라 소개 등 2~3분 내외 영상이나 이미지 제작
# 광고 집행 방향
1) 검색광고 중심 유입
단지명 + 지역 키워드를 중심으로 네이버 파워링크, 검색광고 집행(예시: “강남구 신축 아파트 분양”, “00역세권 신규 단지")
검색 광고는 문의 전환율이 가장 높은 채널이므로, 키워드 전략과 예산 배분이 필수
2) SNS/영상 광고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네이버 포스트 등 영상 중심 콘텐츠 집행
모델하우스 투어, 드론 영상, 생활 인프라 소개 등 시선 유도형 영상 제작
타겟: 20~40대 신혼부부, 직장인, 2030 잠재 수요층
3) 지역 기반 타겟
해당 단지 주변 5~10km 반경, 직장·거주 지역 기반 세그먼트 활용
지역 카페·커뮤니티, 프롭테크 플랫폼 배너 노출
4) 채널 흐름 설계
광고 클릭 → 랜딩페이지 → 상담/방문예약 → 모델하우스 방문 → 계약까지 전환 루트 설계
랜딩페이지 내 문의/예약 CTA 집중 배치
방문 후 전환률 측정을 통해 광고 효율 지속 개선
5) 집중 기간 운영
분양 단지는 시즌성이 강하므로 단기간 집중 집행
캠페인 시작 전, 타겟 세그먼트, 키워드, 매체별 예산 배분 설계
집행 후 실시간 데이터 분석으로 효율이 높은 매체와 메시지 중심으로 재배분
부동산-분양 업종에서의 마케팅은 단순히 광고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관심 고객이 검색에서 방문, 상담, 계약으로
검색광고, SNS 영상, 지역 타겟팅, 채널 흐름, 집중 집행을 통해 고객 접점에서 최대 효과를 만들어야 합니다.
단순 노출이 아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 집행과 체계적 흐름 설계가 성공의 열쇠입니다
앞으로도 여러분을 위해 더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함께 고민하겠습니다.
광고 관련한 문의는 아래 번호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0